사용자는 다음의 간단한 5단계를 통하여, 최신 국제 표준을 사용한 정확한 상품 정보의 입력, 저장 및 거래 파트너와의 공유,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Step1. 상품 정보 등록
Korea Data Pool은 사용자가 상품 정보를 빠르고, 간단하게 입력 가능하도록 사용자중심(User Friendly)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Step2. 상품 정보 검증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정보는 GDSN 표준에 기반한 Korea Data Pool의 규칙에 의해 자동적으로 검증되어, 표준화되고 정확한 정보로 유지됩니다. 또한 PDQ UDEX 연계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Step3. 상품 정보 저장
Korea Data Pool은 사용자의 상품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 가능한 단일화된 보안 환경을 제공합니다.
Step4. 상품 정보 공유
상품 정보의 검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는 거래 파트너와 자사의 상품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Step5. 상품 정보 관리
만약 상품 정보에 변경 또는 수정이 발생한다면, Korea Data Pool은 사용자의 거래 파트너에게 업데이트된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합니다. 즉, 사용자와 거래 파트너는 항상 동일한 최신 버전의 정확한 상품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부서
담당자
전화번호
한국IT비즈니스진흥협회 플랫폼서비스팀
오혜림 대리
02-556-2092
공급업체가 GDS 표준에 따라 자사 상품정보를 KDP 에 입력하면, 해당상품의 GLN, GTIN, 타겟마켓™ 국가코드, GPC(글로벌 상품분류)가 Global Registry에 등록되며, 공급업체는 해당 상품 정보를 전세계의 특정 유통업체에게 공개함으로써 유통업체에게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유통업체는 수신 받기를 희망하는 공급업체의 상품정보를 신청하기 위해 GLN, GTIN, 타겟마켓™ 국가코드, GPC(글로벌 상품분류)의 조합으로 상품신청(CIS) 메시지를 Global Registry에 전송하면, 해당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품정보를 GDSN 내 전세계 공급업체용 Data Pool 로부터 상품통지(CIN) 메시지를 수신 받을 수 있습니다.
부서
담당자
전화번호
한국IT비즈니스진흥협회 플랫폼서비스팀
오혜림 대리
02-556-2092
기존의 공급업체는 유통업체가 원하는 방식으로 상품정보를 제공, 관리를 해야 했기 때문에 정보의 다중 입력과 이로 인한 엄청난 인력과 비용의 손실, 그리고 거래파트너간의 마스터 데이터의 불일치와 에러데이터 전달로 인한 재고관리 및 기업이익의 손실이 막대하였습니다. 공급업체는 위와 같은 문제를 Korea Data Pool에 상품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단 하나의 글로벌 표준을 기준으로 작성된 데이터를 Korea Data Pool에 등록하시면 국내외 대형 유통업체와 상품정보를 동기화 할 수 있어 상호 인력 및 시간,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하나의 데이터 관리를 통해 데이터의 오류를 줄이며 데이터의 내부활용 가시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GDSN은 유통업체에게도 큰 이익을 가져다줍니다. 실제로 글로벌 상위 20개 유통업체의 절반 이상이 GDS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급업체와의 표준화된 데이터 동기화를 통하여 유통업체는 거래파트너 간 물류비용의 감소, 데이터 에러율 감소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 내부 회계 오류와 재고가 감소하는 효과를 낳고 있습니다. GDSN은 Supply Chain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줌으로서 모든 곳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빠른 신상품 소개로 판매량 증가를 가능하게 하여줍니다.
글로벌 상품이 증가하면서 기업 내 표준을 글로벌 표준과 일치시키려는 노력이 등장하였으며 표준화된 데이터를 동기화함으로써(GDSN)거래 파트너간 더욱 단순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거래파트너간 불일치 데이터는 비용 손실뿐만 아니라 잘못된 배송 및 판매 기회 손실이 발생시켰습니다. 이러한 과거의 문제는 데이터 동기화 즉, 항상 정확하고 동일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환경 구축을 통하여 거래파트너간 정확하고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며 Supply Chain에서의 문제를 해결하여 줍니다. 실제적으로 10,000여개가 넘는 유통업체와 공급업체가 GDSN 사용을 통한 개선효과를 보았습니다